[정보] 잡동사니

[IT] 기능점수(Function Point, FP)란? 정의, 구성요소

  • -
반응형

 

기능점수(Function Point, FP)란 무엇인가?

 

 

기능점수의 기본 개념

1. 기능점수의 목적

  •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의 규모를 객관적으로 평가
  • 프로젝트의 비용, 일정, 자원 계획 수립에 도움
  • 개발자 생산성 평가 기준 제공

 

 

 

 

2. 기능점수의 특징

  • 기술 구현 방식에 독립적: 코딩 언어나 플랫폼에 관계없이 측정
  • 사용자 관점에서 기능을 측정: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(요구사항)에 초점을 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기능점수 구성 요소

1. 데이터 기능

  • 내부 논리 파일(ILF): 시스템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 집합 (예: 데이터베이스 테이블)
  • 외부 인터페이스 파일(EIF): 시스템 외부에 존재하며 시스템이 참조하는 데이터 집합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 트랜잭션 기능

  • 외부 입력(EI): 사용자가 시스템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
  • 외부 출력(EO): 시스템이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이터
  • 외부 조회(EQ): 시스템이 사용자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검색하고 반환하는 기능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기능점수 계산 절차

    1. 기능의 복잡도 평가: 각 기능을 단순(Simple), 보통(Average), 복잡(Complex)으로 분류
    2. 기본 점수 계산: 각 기능 유형에 가중치를 곱한 후 합산
기능 유형 단순(Simple) 보통(Average) 복잡(Complex)
외부 입력 (EI) 3 4 6
외부 출력 (EO) 4 5 7
외부 조회 (EQ) 3 4 6
내부 논리 파일 (ILF) 7 10 15
외부 인터페이스 파일 (EIF) 5 7 10
  1. 조정 인자 적용: 시스템 특성에 따라 조정 인자(TCF) 계산
  2. 기능점수(FP) 계산: 최종 기능점수 = 기본 점수 × TCF

 

 

 

 

 

 

FP 활용 예시

  • 비용 및 일정 산정: 기능점수에 단위 비용을 곱해 총 비용 추정
  • 개발자 생산성 평가: 일정 기간 동안 처리한 기능점수를 기반으로 생산성 분석
반응형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